본문 바로가기

기타

[HTTP]URI URL URN

URI

URI는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약자로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합된 방법이라는 뜻을 갖는다. 여기서 리소스를 식별하는 것은 사람들 개개인을 주민번호로 식별하듯이 자원을 식별하는 것이다.

 

URI는 로케이터(Locator), 이름(Name) 또는 둘 다 추가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것들을 각각 URL, URN이라고 하며, URL, URN은 URI에 속하는 부분집합이라고 볼 수 있다.

URI, URL, URN의 관계 그림

 

URL

URL은 Uniform Resource Locator의 약자로 리소스가 있는 위치를 지정해 준다.

위치 즉 URL은 변할 수가 있다.

 

  • url의 문법

scheme://[userinfo@]host[:port][/path][?query][#fragment]

- scheme : 주로 프로토콜(어떤 방식에 자원에 접근할 것인가 하는 규칙) 사용 ex) http, https, ftp 등등

- userinfo : URL에 사용자 정보를 포함해서 인증,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.

- host : 호스트명으로 도메인명 또는 IP주소를 직접 사용 가능

- port : 접속 포트로 일반적으로는 생략한다.

- path : 리소스 경로로 계층적 구조를 가진다.

- query : ?로 시작하고 &로 추가 기능을 갖는 웹 서버에 제공하는 파라미터로 key=value 형태이다.

- fragment : html 내부 북마크 등에 사용되며 서버에 전송하는 정보가 아니다.

 

 

URN

URN은 Uniform Resource Name의 약자로 리소스의 이름을 지정해 준다.

 

URL은 변할 수 있지만 이름인 URN은 변하지 않는다.

하지만 URN 이름만으로 실제 리소스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이 보편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는다.

 


출처 : 인프런 우아한 형제들 최연소 기술이사 김영한의 스프링 완전 정복(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)

 
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HTTP]HTTP 상태코드  (0) 2023.04.09
[HTTP]HTTP 메서드  (0) 2023.04.07
[HTTP]HTTP의 정의, 특징 및 메시지의 구조  (0) 2023.04.01
[Lombok] IntelliJ Lombok 설치, 설정  (0) 2023.03.26